집중하기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SVB(실리콘밸리뱅크) 파산사태(2023/03/11)

날아라100조 2023. 3. 12. 00:18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SVB(실리콘밸리뱅크) 파산사태(2023/03/11)

뉴욕증시 S&P 500 =>> 3,861.59 (-56.73 1.45% 하락) 
나스닥 지수       =>> 11,138.89 (-199.47 1.76% 하락) 
다우존스         =>> 31,909.64 (-345.22 1.07% 하락)
변동성지수  =>> 24.56 (+1.95 8.62% 상승)
(공포지수)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70% (-0.23 하락)
미 국채 금리  2년물  >> 4.60% (-0.30 하락)

✔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일본은 금리 동결하면서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가 뚝 떨어졌다.
미국도 안전자산을 우선시 하면서 미국국채 가격이 올라가면서 
국채금리는 뚝 떨어졌다.

2016년 사우디의 시아파 성직자 사형 후 단절된 이란과 사우디, 
중국의 중재로 관계 회복 했다. 2개월 내 다사관 개관 한다고..
미국은 그리 좋아하지 않을 만한 뉴스인 듯하다.

 

긍정적인 면 

2월 실업률 3.6% 예상 3.4%
안전자산으로 몰리면서 국채금리 하락 + 달러 약세 전환했다.
3월 FOMC서 금리 25bp만 인상할 것으로 확산

 

 

부정적인 면

2월 일자리 31.3만 개 예상 22.5만 개
SVB 위기의 나비 효과 은행주 파급효과 불가피 

 

부가 설명

2월 실업률은 예상보다 늘어났고 
일자리는 더 늘어난 결과를 보여준 지표가 나왔다.

해고를 당한 사람들이 늘어났고 
사람을 구하는 기업들은 증가한 모양새다. 
이상하게 보일 수 있으나 고용둔화로 해석했다.
그 말은 3월에 금리 인상이 25bp로 전망했다는 것이다. 

아침에 나온 고용지표를 좋게 해석하면서 나쁘지 않은 출발을 보였으나,
SVB(실리콘밸리뱅크) 파산사태로 인해 곤두박질쳤다.
210억 달러 증권 매각해 손실 18억 달러
(금리 상승 -> 보유 채권값 급락 -> 뱅크런)
22.5억 달러 증자 준비 중이었으나 실패했고 GS 자문사로 매각 추진

 

SVB(실리콘밸리뱅크) 파산사태?

실리콘밸리은행은 실리콘밸리에서 갓 생성한 미래가 괜찮은 회사를 찾아서
적은 금액으로 큰 이윤을 챙기는 투자 은행이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경기가 안 좋아지면서 투자자들의 예금 등을 빼면서 
회사의 재정상태가 안 좋아지고 거기에 금리까지 상승해지면서 
증권등을 매각해서 보충하려 했으나 손실이 커지는 상황에서
유상증자로 손실을 메꿔 보려고 했으나 실패했고 파산을 한 것이다.

작은 은행들부터 지금 뱅크런(갑자기 동시에 예금을 빼는 행동) 
이 시작이 된 것으로 보인다. 유동성 위험에 노출이 더 크기 때문에
불안해하고 있다. 

소형주를 2,000 종목을 모은 러셀 2000 지수는 -3% 정도 밀렸다.


앞으로 Fed의 움직임은 어떨까?

일자리수는 증가를 했지만, 고용과 임금상승률이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고
예상치 못한 SVB 파산 사태까지 나오면서 금리를 50bp 인상하기는 
어렵다고 보인다. 

사람들의 심리가 안전자산을 찾으려는 모습이 나오면서 
미국 국채 쪽으로 눈을 돌리게 되고  
국채가치가 올라가면서 가격은 올라가고 금리는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서 증시도 떨어지게 된다.


어제 뉴스 

오늘은 금융주(FINANCIALS) 쪽이 많이 하락했다.

신규실업 청구건수가 소폭 상승했다. 21.1만 명.
8주 만에 20만 명 이상이 나온 수치다. 
그렇지만 고용시장에 큰 영향을 줄 정도로 많이 늘지는 않았다.
기술 기업의 감원이 
전체 산업의 28%에 차지할 정도로 많이 감원했다.

바이든의 새 예산안 
이유-2024년 회계연도(올해 10월에 시작)
향후 10년간 2.9조 달러(약 4000조) 적자 감축 목표
중국을 겨냥한 군 현대화 예산 역대 최대(8420억 달러)

상위 0.01% 자산가에 최소 25% 세율(억만장자세)
연소득 40만 달러 넘는 소득세(최고) 37 -> 39.6% 인상 
법인세율 21% -> 28% 인상 

전문가 의견 
제러미 시걸(와튼스쿨 교수)
Fed가 3월에 50bp 올리면 분명히 잘못된 결정이다.
임금은 물가보다 덜 올랐기 때문에 여기 초점을 뒤면 안 된다.
물가에 뒤처진 임금은 고용 아주 강하지 않다는 뜻이다.
원자재, 물류비는 급락했다. 슈퍼코어만 주목하면 안된다.
(*슈퍼코어=주택 관련, 식료품, 에너지등 변동성이 큰 것들을 제외한 것들)

제니 그림버그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
만약에 50bp로 높이면: 
주식, 원자재 투매로 하락으로 이어질 것. 
달러 강세로 상승하게 될 것.

25bp만 올리면:
시장은 안도 랠리를 보일 것이다.
하지만, 하반기 경기, 소비가 강세를 띄면서 강한 긴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왜냐면, 작년에 급하게 올린 긴축 정책 영향이 서서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728x90

유가

WTI: 76.68달러 (0.96달러 상승) 
브렌트유: 82.78달러 (1.19달러 상승)

 

상승요인
2월 고용 둔화 해석에 달러 약세

하락요인
여전한 Fed 긴축 강화에 우려 

 

 

다음 주 주요 일정
3/13일 월요일 서머타임 개시 
3/14일 화요일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3/16일 목요일 신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이전 글

 

2023.03.10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고용지표 관심집중(2023/03/10)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고용지표 관심집중(2023/03/10)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고용지표 관심집중(2023/03/10) 뉴욕증시 S&P 500 =>> 3,918.32 (-73.69 1.85% 하락) 나스닥 지수 =>> 11,338.35 (-237.65 2.05% 하락) 다우존스 =>> 32,254.86 (-543.54 1.6

justdoit1004.tistory.com

시장날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