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미국 S&P-다우 사상 최고가,주택착공 6개월 만에 최고, 소매 부동산 투자나선 기관들, 바이든 지지율 하락(2023/12/20)

날아라100조 2023. 12. 20. 08:34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미국 S&P-다우 사상 최고가,
주택착공 6개월 만에 최고, 소매 부동산 투자나선 기관들, 바이든 지지율 하락(2023/12/20)

뉴욕증시 S&P 500 =>> 4,768.37 +27.81 0.59% 상승
나스닥 지수       =>> 15,003.22 +98.03 0.66% 상승
다우존스         =>> 37,557.92 +251.90 0.68% 상승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2.51 -0.050 0.40% 하락
유럽증시(EURO STOXX 50)=>> 4,535.40 +14.27 0.32% 상승 
달러 인덱스(DXY) =>> 101.77 -0.412 0.40% 하락 

 

미국 S&P-다우 사상 최고가,
주택착공 6개월 만에 최고,
소매 부동산 투자나선 기관들,
바이든 지지율 하락,

유로존 인플레이션 -0.6% p, 예상 -0.5% p 
전년대비 2.4%
10월 2.9%,작년 10.1% 
에너지가격이 계속해서 하락해서로 보인다.

미국 S&P-다우 사상 최고가 경신했다.
나스닥도 15,000을 돌파했다.
아직 2년전 최고가에 도달하지 못했다.


긍정적인 면

미국 S&P-다우 사상 최고가 경신했다.
나스닥도 15,000을 돌파했다.
주택착공 6개월만에 최고,
소매 부동산 투자나선 기관들,

 

부정적인 면

바이든 지지율 하락

 

부가 설명

사고 싶은 사람들이 팔고 싶은 사람들 보다 많아졌다.
오늘은 풋/콜 옵션 비율 0.64로 하락했다. 극한탐욕 수준이다. 
풋옵션이 콜옵션대비 해서 얼마나 많아지는지를 보는 지수다.
쉽게 말하면,시장이 더 나빠질 거라는 예상을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를 보는 것이다. 1이상이면 시장은 나빠진다고 예상한다.

오늘은 모든 11개 섹터가 다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주택시장 바닥을 찍고 경색이 풀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규 주택허가 146만 채,전월대비 -2.5% 하락 
주택착공건수 +14.8% 6개월래 최고치 
싱글하우스 114.3만채,전월비 18% 급증 
주택완공도 +5% 상승했다.

기존주택 판매건수도 중요하다.
낮은 모기지 혜택인 사람들은 현재 집을 유지하고 있다.
왜? 
주택 매매=>리모델링=>입주 순으로 하면서 
가구, 정원 가꾸기로 소비 증가가 생기고 
가전제품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소매업체 고용,조경 서비스,
부동산 중개인 등에게도 영향을 주게 된다. 
수요가 늘어나야 미국 중산층에 인플레 압박이 덜어지고
산업과 경기가 꺽이지않고 버티게 된다.

기관들은 오피스 대신 소매점을 매수하고 투자하고 있다.
식료품, 약국등 불황에 강한 부동산, 매장 
공실로 부도 위험 높아진 오피스 빌딩 대신 소매업에 베팅하고 있다.
식료품, 약국, 주유소, 차부품점 등이 
일반적으로 잘 유지되는 편,
시장 환경과 관계없이 구매자가 꾸준한듯하다.

금리 예상치는 변동 되는 부분은 없는 상황이다.
그러면서 국채수익률도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미국 강한 성장, 더많은 소비를 했다
1인당 휴가비 지출 1,300달러,작년대비 31% 증가 
-급여/소득 증가덕분에 소비지출 증가 
-인플레 때문에 더 지출증가 

바이든 지지율 35%로 떨어졌다. 
고물가 고착화된 것 때문에 여성에 지지율이 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테슬라 소식 
충전 표준화 성큼 다가 왔다.
2025년 도입 합의 한 완성차 업체 
볼보(폴스타), 메르세데스벤츠, 포드, GM, 
BMW, 현대기아, 도요타, 닛산, 혼다, 리비안, 루시드, 피스커 

 

 

 


유가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931% (-0.025 하락)
미 국채 금리  2년물  >> 4.441% (-0.016 하락)
*통화정책에 좀더 민감한 2년물 
COMEX(국제 금값) =>> $2,053.40/온스(+12.90 0.63% 상승)
bit Coin(암호화폐)=>> $42,300.39/개(-0.39% 하락)
ther(이더리움)  =>> $2,178.95/개(-1.30% 하락)

(서부텍사스) WTI: 73.58달러/배럴 (1.11달러 상승) 
(북해산) 브렌트유: 79.51달러/배럴 (1.56달러 상승)

 

상승요인
OPEC+ 감산

홍해 위험

하락요인
채권 금리 하락 
미국 달러 약세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금 제한적 채굴 
중앙은행(중국, 폴란드) 매입 
경기침체 우려
수요 우려 
중국 경제 약화

 

 

이전 글

2023.12.18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나스닥 100 최고가, AI 금융위험?, 바이든 탄핵안 하원 통과, 우크라이나 EU가입 논의, 코스트코 골드바 1억 달러 판매(2023/12/18)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나스닥100 최고가,AI 금융위험?,바이든 탄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나스닥 100 최고가, AI 금융위험?, 바이든 탄핵안 하원 통과, 우크라이나 EU가입 논의, 코스트코 골드바 1억 달러 판매(2023/12/18) 뉴욕증시 S

justdoit1004.tistory.com

 

시장날씨

728x90

 

 미국주식 증시 미국시장,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증시 유럽증시 해외증시, 테슬라, 
미국 국채 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