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6월 기준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금매수 3가지 이유, Fed위원들의 매파적 발언(2023/05/19)

날아라100조 2023. 5. 19. 08:33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6월 기준금리인상 가능성 높아져, 금매수 3가지 이유, Fed위원들의 매파적 발언(2023/05/19)

뉴욕증시 S&P 500 =>> 4,198.05 (+39.28 0.94% 상승) 
나스닥 지수       =>> 12,688.84 (+188.27 1.51% 상승) 
다우존스         =>> 33,535.94 (+115.14 0.34% 상승)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6.09 (-0.78 4.62% 하락)

미국주식 미국시장, 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 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유럽증시를 포함해서 미국증시도 기분 좋게 출발했고 
기분좋게 마감했다.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은 올해 들어서 22% 넘게 상승했으나
대기업 30개를 모아놓은 다우존스(경기민감주)는 1.2% 정도 상승에 그쳤다.
역대급으로 나스닥, 다우 격차가 많이 벌어졌다.

부채한도 협상이 결렬될 확률은 거의 없다고 본다.

31조 4천억 달러의 부채가 엄청나게 크고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미국 단기 부도위험도는 그리스, 브라질보다 높은 상황이다. 

만약에, 협상이 결렬 되게 되면 :

-금리는 상승하고, 신용(달러)은 하락하고
-증시도 폭락하게 될 것이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의 위엄도 그만큼 흔들리면서 큰 흠집을 내게 될 것이다

 


긍정적인 면

매카시(공화당, 하원의장), 부채협상-이르면 다음 주 표결 
기대 웃돈 월마트 1분기 실적 

 

부정적인 면

로건 Fed, 금리인상 중단의 근거 충분치 않다.-매파적 발언
크게 높아진 6월 25bp 인상 확률(선물시장)
13개월 연속 하락한 경기선행지수 

 

부가 설명

오늘은 기술주, 통신서비스, 임의 소비재를 주축으로 많이 상승했고 
건강/보건, 부동산, 필수소비재, 유틸리티는 약세 모습이었다. 

고용 여전히 활발하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감소했다.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다. 고용시장은 아직 짱짱하다.

고금리에 둔화한 기존주택 판매수가 줄어들었다.

미국에서 가장 큰 소매판매업체 인 월마트가 실적 발표를 했다.
매출은 전년대비 7.6% 증가했다.->>1523억 달러
온라인 매출 27% 증가 - 의류, 가전은 감소; 식품은 증가했다.
소비 탄력성은 여전하고 올해 매출 3.5% 증가했다.
임의 소비재 판매 둔화가 나타났다.

골드만삭스, 향후 10년간 기업 이익률 불러올 호재 AI열풍을 말했다.
그로 인해 미국 생산성을 10년간 연 1.5% 포인트 상승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다만, 정부 규제, 채택률 정체등의 위험도 상존한다.
엔비디아 주가가 더 뛰게 생겼다.

지금 금 사야 할 3가지 이유!!

1. 각국 중앙은행, 올해 700톤 매수할 것.
2. 달러 약세 이어질 것>>Fed의 긴축 중단->> 약달러 방향 분명
3. 침체 위험 높아지며 금 수요 증가 

Fed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강도를 높이고 있는 모양새다.

-현재 지표만 보면 금리를 동결 해선 안된다.
-금리 인하에 대한 증가가 없다.
-인플레가 너무 높기 때문에 가격 안정에 최우선시해야 한다.
-주거비 제외한 물가 상승률은 큰 둔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면서, FedWatch에서 6월 금리 인상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유가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65% (+0.08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4.24% (+0.12 상승)
COMEX(국제 금값) =>> $1,960.10/온스(-24.80 1.25% 하락)
bit Coin(암호화폐)=>> $26,738.40/개(-669.30 2.44% 하락)
Ether(이더리움)  =>> $1,796.97/개 (-24.23 1.33% 하락)


(서부텍사스) WTI: 71.86달러/배럴 (0.97달러 하락) 
(북해산) 브렌트유: 75.86달러/배럴 (1.1달러 하락)

 

상승요인
미국, 부채 협상 낙관론에 위험선호 심리 개선 

하락요인
Fed 인사들의 잇따른 매파 발언
달러 강세 

 

728x90

이전 글

2023.05.18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급상승, 디폴트는 없다, 올해 경기침체 가능성 74%(2023/05/18)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급상승, 디폴트는 없다, 올해 경기침체 가능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급상승, 디폴트는 없다, 올해 경기침체 가능성 74%(2023/05/18) 뉴욕증시 S&P 500 =>> 4,158.77 (+48.87 1.19% 상승) 나스닥 지수 =>> 12,500.57 (+157.51 1.28% 상승)

justdoit1004.tistory.com

 

시장날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