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코픽스? 11개월만에 하락했다? (금리=이자, 콜금리? 가산금리?)
코픽스, 콜금리, 가산금리, 이자, 주담대,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코픽스, 기준금리,잔액 코픽스, 신잔액 코픽스
코픽스, 11개월 만에 하락 했다.
주담대(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내린다.
신규 취급액 코픽스 금리 11개월 만에 하락 했다.
12월 신규 취급액 코픽스 4.29% (11월 4.34%)
코픽스란?
은행들도 돈을 빌려주기 위해서 어디에선가 돈을 가지고 오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금리를 말하는 거고, 8개 시중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평균 금리를 말한다.
예적금 반영 비중이 80%로 가장 높다.
은행들은 코픽스에 대출자의 신용도를 반영하여
일정률의 가산금리(스프레드 · spread)를 더해 대출금리로 결정한다.
코픽스가 떨어지면 그만큼 은행이 적은 이자를 주고 돈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고,
코픽스가 오르면 그 반대의 경우다.
코픽스는 계산 방법에 따라 잔액 기준과 신규 취급액 기준 두 가지가 있다.
잔액 기준은 매월 말 현재 조달자금 잔액을 기준으로 계산한 가중평균금리이고,
신규 취급액 기준은 매월 신규로 조달한 자금에 적용된 가중 평균금리를 말한다.
대출받는 입장에서 본다면 금리 상승기엔 잔액 기준 코픽스가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보다 유리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픽스 [cost of fund index] (한경 경제용어사전)
기준금리는 0.25% 올라서 3.5%로 상승했는데 코픽스가 떨어진 이유는 뭘까?
시중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1. 예적금 금리가 떨어졌다.
금융당국 수신금리 인상 자제령
5% 이상으로 올린 은행들 때문에 돈의 유동성이 없어졌다고 판단해서 올리지 말라고 한것이다.
2. 채권금리 하락
은행채 발행 재개, 채권금리 안정화.
은행권 주담대 변동 금리는 다음날 바로 적용이 된다.
재미있는 포인트
-신규취급액 코픽스: 최근 1개월동안 받은 예적금 기준
(금리가 오르는 시기에 가장빠르게 올라가고 내려갈때 가장 빠르게 적용된다.)
-잔액 코픽스: 지금까지 받은 전체 예적금 기준
-신잔액 코픽스: 지금까지 전체 + 요구불 예금 등 저원가성 예금 포함. (가장 늦게 반영이 된다.)
금리 인상시기에는 신규 취급액 > 잔액 > 신잔액 순으로 올라간다.
>> 12월에는 신규 취급액 코픽스는 0.05% 내려간 반면,
>> 신잔액 코픽스는 연 3.52%로 전월대비 0.33% 올랐다.
정부에서 은행들의 금리 인상을 제재 하니까 금리를 내리고 있지만
올릴때는 신규취급액 코픽스(빠르게 오르니까)로 하다가
내릴때는 신잔액 코픽스(천천히 내릴꺼고 현시점에선 가장낮은 금리니까) 로 다시 적용해서
내리는 모양새다.
궁금했던 금리에 대해서 몇가지 정리 해봤다.
콜 금리(call rate)
일시적으로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자금이 남는 다른 곳에 자금을 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콜(call)이며,
이러한 금융기관간에 발생한 과부족(寡不足) 자금을 거래하는 시장이 콜 시장이다.
잉여자금이 있는 금융기관이 콜 론(call loan)을 내 놓으면 자금이 부족한 금융기관이
콜 머니(call money)를 빌리는데, 이럴 때 형성되는 금리를 콜 금리라고 한다.
콜 금리는 재정자금의 동향이나 개인 기업의 현금수요 등을 배경으로 한 금융시장의
수급사정에 의해서 변동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동안은 사실상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통제해 왔다.
따라서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 금리를 높여 시중 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 금리를 낮추어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세우는 등
매달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고, 통화안정증권이나 국채를 시중은행과 사고 파는 방식으로
시중의 자금량을 조절해 왔다.
[네이버 지식백과] 콜 금리 [call rat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가산금리
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조건에 따라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즉, 대출 등의 금리를 정할 때 기준금리에 덧붙이는 위험가중 금리를 말한다.
따라서 신용도가 높아 위험이 적으면 가산금리가 낮아지고, 반대로 신용도가 낮아 위험이 많으면
가산금리는 높아진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산금리 (시사경제용어사전, 2017. 11., 기획재정부)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1/20) (2) | 2023.01.20 |
---|---|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주요일정(2023/01/19) (4) | 2023.01.19 |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테슬라, 주요일정(2023/01/18) (6) | 2023.01.18 |
[공부하기]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0) | 2023.01.18 |
[한국주식]오늘의 움직임 살펴보기 (2023/01/17) (4)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