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공부하기]숏 스퀴즈(Short Squeeze) 란?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은?

날아라100조 2023. 7. 28. 12:52
728x90
반응형

[공부하기]숏 스퀴즈(Short Squeeze) 란? 알고 있으면 좋은 것들은?

숏 스퀴즈(Short Squeeze) 라는 걸 알아 보기전에,

숏(short)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거다.

 

주식

숏(short) 이란?

"공매도" 라고 하며, 주식을 빌려서 거래소에 팔았다가 

다시 빌린 것을 갚기 위해 같은 주식을 다시 사는 과정에서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 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예를 들면, 


현재 1000원짜리 사과가 있다. 사과가격이 떨어질것을 예상하고 

외상으로 1000원 짜리 사과를 사서 다른 사람한테 팔았다. 

 

▶몇일 후에 가격이 500원으로 떨어졌을 때,

사과를 사서 외상을 갚는것이다.

그럼 500원의 차익을 얻는 것이다.

 

실제로 1000원 짜리 사과를 살때, 현금이 오고가지 않기 때문에

투자금이 없는 상황에서 500원을 버는 것이다.


문제는 사과가격이 예상과 달리 올랐을때 발생한다.

현재 1000원짜리 사과가 있다. 사과가격이 떨어질것을 예상하고

외상으로 1000원 짜리 사과를 사서 다른 사람한테 팔았다. 

 

▶떨어져야 할 사과가 떨어지지 않고 상승해서 1500원이 되었다.

그럼 외상을 갚아야 하므로, 1500원짜리 사과를 사서 갚아야 한다.

그럼 500원의 손실을 입게 된다.

 

기업을 매수한 후 소문,이슈, 뉴스등을 통해서 일부러 주가를 떨어뜨리고

고매도 차익을 얻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그 기업을 매수한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로 인해서 

큰 피해를 볼수 있기 때문에 싫어 할수 밖에 없다. 

 

 


숏 스퀴즈(Short Squeeze) 란?

 

이런것을 대비해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승 하는 경우에 주식을 매수 해서 손실금을 줄이는 방법을 말한다.

 

가격이 상승할때 매도 포지션을 잡았는데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다시 사야 하는 경우(다시 매수을 해야 하는 경우)

 

숏 스퀴즈 가 발생을 하면 주식이 많이 상승 한다.

해당 종목에 매수세가 몰려서 주가가 크게 상승 한다.

 


공매도 vs 주가 

공매도 비율이 높다는 건 주가가 내려갈것에 배팅을 한 것이기는 하다.

매도 잔량이 많더라도 매수세가 강해서 올라가는 경우도 많이 있다.

주가를 상승시키기 위해 높은 매도가를 체결하고 그것을 본 매수세들이 들어올수도 있다.

공매도 량을 이길 정도의 매수세가 강하다. 큰 뭔가 있는것을 말하기도 한다.

공매도 비율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주가가 하락하지는 않는다.

공매도 비율이 높다면 급등하거나 급락 할 가능성이 더 높다.

최근에 공매도를 엿(!!)먹이기 위해서 개미들이 모여서 엄청나게 매수 한 경우도 있다.

 


공매도=숏(Short) 에대한 다른 용어들을 정리 해봤다.

short volume = 하루동안 공매도 거래량

short volume ratio = 하루동안  공매도 거래량 비중

short percent of Float = 전체 유통주식 수 대비 공매도 수

(보통 15% 이상이면 높은 비율로 본다. 비율이 높을 수록 short세력이 많다는 뜻임)

Short Covering = 빌렸던 주식을 갚기위해 해당 주식을 다시 매수 하는것을 말함.

(매수세가 들어오면 주가는 단기 반등한다.)

Short Interest = 공매도 잔량(미상환잔고) ; 공매도한 주식 중에 상환하지 않은 주식수를 말함.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만한 정보들

 

  • 미국증시는 무차입을 허용하고 있다.
  • *무차입 이란? 주식을 빌리지 않고 매도 할수 있는 것을 말함.
  • 무차입을 허용하게 되면, 
  • 주식을 빌리는 기관, 외국인에게 별도 수수료, 이자를 지급하지 않고 
  • short를 할수 있다. 그래서 상장된 주식 보다 많은 양의 매도한 것이 가능해진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