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기준금리동결, 파월발언, 월가분석, 도매물가 둔화, 매타의 귀환(2023/06/15)
뉴욕증시 S&P 500 =>> 4,372.59(+3.58 0.082% 상승)
나스닥 지수 =>> 13,626.48(+53.16 0.39% 상승)
다우존스 =>> 33,979.33(-232.79 0.68% 하락)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3.88 (-0.73 5.00% 하락)
유럽증시(EURO STOXX 50)=>> 4,378.46(+30.91 0.71% 상승)
오늘 FOMC 성명서의 핵심은?
5월과 내용이 거의 바뀌지 않았다.
기준금리, 5.25%로 동결(만장일치)
경제 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확장(경기침체 아직아니다.)
점도표로 보면 연내 두번의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
5.75%를 예상하고 있다. 지금보다 50bp를 더 올려야 하는 상황.
제롬 파월 의장의 핵심 메시지는?
7월 금리 결정 안했다-회의 때마다 결정할 것
(금리 동결은 금리인상 속도 조절의 연장선)
7월 FOMC는 라이브 미팅이 될 것
2% 목표 먼길이나 조건들 맞춰지고 있다.
금리 인하, 물가 상당히 떨어질 때 할 것.
6월 FOMC 대한 월가 분석은?
시장 전망과 일치한 파월 연설-연착륙 가능성 시사
매파적 점도표, 금융 완화 차단 포석에 불과하다-덜 올릴 것
인플레이션 빨리 떨어지면, Fed는 더 일찍 완화할것
추가 금리 인상 확실시-아직 끝나지 않았다.
10차례 급인상 후 동결 했으나 빠르면 7월에 재개 할듯하다
은행 위기로 동결했지만 금리 재인상 땐 소통 혼란 줄듯하다.
앞으로 FOMC는 4차례가 남았다. 7,9,11,12월
금리를 올릴때 침체가 오는 것이 아니라 내릴 때 경기침체가 온다.
어떻게 될지 궁금하다.
긍정적인 면
FOMC의 금리 동결 및 덜 매파적인 파월발언
5월 도매물가 -0.3%
주가 상승장 소외 불안감(FOMO)
부정적인 면
Fed의 매파적 가이던스(연말까지 50bp 인상가능성)
부가 설명
임의소비재,기술주,부동산,통신서비스가 상승했다.
헬스케어, 에너지주가 많이 하락했다.
AI관련주들이 많이 상승했다.
주가는 6월 기준금리 동결은 이미 반영이 되어 있었고
생산자물가를 보고 상승하다가 오후에 나온 점도표를 보고
50bp인상 가능성을 보고 놀라서 하락하다가
파월에 발언으로 다시 안정을 찾는 모습이었다.
5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많이 떨어졌다.
-0.3% 월대비.
상품수요감소의 주요원인은 에너지값이 떨어졌다.
휘발유값이 -13.8% 감소했다.
AMD에서 어제 새로운 칩을 발표하면서
좋은 성과를 낼것이라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믿을 만한 GPU공급사가 될 것이라는 의견이다.
MI300X, 새칩 판매의 가시적인 성과를 기다리고 있는 중.
심지어 아마존 웹서비스에서 AMD칩 사용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메타 주가는 내년까지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릴스 강화 및 AI구축으로 인해서 사용자 체류시간이 증가했고
그로 인해 디지털 광고 분야에서 최선호주로 등극하고 있다.
광고 추적 모델 본 뒤 하반기 매출 전망 상향이 되었고
2년간의 하락을 끝내고 점유율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월가분석
미국은 내년에 경기침체 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올 하반기부터 채권 시장이 새로운 기회의 원천이 될 듯
임금 인상률 때문에 물가는 2%가 아닌 3%대 고착 할듯
Fed, 연내 금리를 1~2번 더 올린 후 장기 동결 가능성높다.
중국, 성장 최우선 두고 있어서 성장 전말이 긍정적이다.
이번주 일정
6/13(화) 소비자물가지수 CPI(이전 4.9%)
6/14(수) FOMC금리 결정/제롬파월 기자회견
6/15(목) 유럽중앙은행 금리 결정
유가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83% (-0.01 하락)
미 국채 금리 2년물 >> 4.74% (+0.07 상승)
COMEX(국제 금값) =>> $1,959.20/온스(+0.60 0.031% 상승)
bit Coin(암호화폐)=>> $25,572.70/개(-357.50 1.38% 하락)
Ether(이더리움) =>> $1,685.44/개 (-54.10 3.11% 하락)
(서부텍사스) WTI: 68.27달러/배럴 (1.15달러 하락)
(북해산) 브렌트유: 73.20달러/배럴 (1.09달러 하락)
상승요인
조금 더 커진 경기 연착륙에 대한 희망
하락요인
연내 2번 추가 인상 시사한 Fed, 경기엔 안 좋은 요인->수요 압박
미국 EIA, 원유 재고 791.9만배럴 증가
JP모간, 연말 유가 전망 90달러->81달러 하향조정
이전 글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급등한 유가, 5월 CPI, 테슬라 연속상승 중, 시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급등한 유가, 5월 CPI, 테슬라 연속상승 중, 시장에 예상은!!(2023/06/14) 뉴욕증시 S&P 500 =>> 4,369.01(+30.08 0.69% 상승) 나스닥 지수 =>> 13,573.32(+111.40 0.8
justdoit1004.tistory.com
✔ 미국주식 증시 미국시장,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증시 유럽증시 해외증시, 테슬라,
미국 국채 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