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대형은행실적,보잉문제발생,공실률증가(2023/04/15)

날아라100조 2023. 4. 16. 00:11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대형은행실적, 보잉문제발생, 공실률증가(2023/04/15)

뉴욕증시 S&P 500 =>> 4,137.64 (-8.58 0.21% 하락) 
나스닥 지수       =>> 12,123.47 (-42.81 0.35% 하락) 
다우존스         =>> 33,886.47 (-143.22 0.42% 하락)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7.08 (-0.72 4.04% 하락)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52% (+0.07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4.08% (+0.12 상승)
COMEX(국제 금값) =>> $2,018.30/온스(-37.00 1.80% 하락)
bit Coin(암호화폐)=>> $30,461.20/개 (+56.10 0.18% 상승)
Ether(이더리움)  =>> $2,104.63/개 (+90.51 4.49% 상승)

미국주식 미국시장, 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 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증시는 시작과 동시에 상승으로 출발했다.
JP모건의 실적이 상당히 좋게 발표되었다.
대형은행주들의 실적이 좋아서 반색을 하면서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안 좋은 경제지표들의 발표 때문에 다시 하락 추세를 보였다.


긍정적인 면

JP모건, 웰스파고, 시티 등 은행 실적 호조 
경기 침체 피하거나 오더라도 완만 기대감 
3월 산업 생산 0.4% 증가

 

부정적인 면

월러 등 Fed인사의 추가 인상 강력 시사
4월 미시간대 1년 기대 인플레 4.6%-예상치 1% 상승 
3월 소매판매 -1% 감소(위축)-둔화하는 모습 

 

부가 설명

 

소매판매가 너무 낮아졌다.
그래서 인플레, 침체 대비를 하는 경향이 더 커진 모습이다.
고가 제품 소비들이 더 줄어들었다. 

팬데믹 직전에도 5.4% 였던 샌프란시스코 공실률이 
현재 29.4%로 증가했다. 
이유는 기술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감원, 사무실폐쇄, 비용절감
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재택 가능 근로자 55%-대부분 시간 재택근무를 하고 있는 중이다.

3월에는 은행발 위기도 있었지만 오늘은 대형은행들의 좋은 실적들이 발표됐다.

JP모건을 보면:
EPS 4.32달러 예상 3.41달러
매출 393.4억 달러 예상 361.9억 달러(전년대비 52% 상승)
순이자이익 207.1억 달러 전년대비 49% 상승 
순이자마진(NIM)* 작년 4분기 2.47%=> 올 1분기 2.63%
*순이자마진(NIM): 
예금자들한테 낮은 금리로 돈을 조달하고 
높은 금리로 돈을 빌려주는 형식임;

3월 말 예금 2.38조 달러(3개월 만에 370억 달러 증가)
**대손충당금 23억 달러 (작년 동기대비 56% 증가)-경기침체가능성이 높아졌다.
올해 순이자 이익 810억 달러(예상 740억 달러)
**대손충당금: 개인,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돈을 못 갚는 경우를 
대비해서 돈을 쌓아 놓는 금액(연체율증가를 대비한 금액)

보잉 주력기 생산, 인도 잠정 중단 발표..
737 맥스에서 부품 문제 발생.
협력사(스피릿에어로시스템-몸통 알루미늄 프레임)에서 
비표준 공정 부품을 사용했다고 발표한 것. 
제조 완료된 항곡기에 까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
2018,2019년에 추락사고가 있었다. 보잉이 크게 민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어제 뉴스요약

생산자물가지수가 생각보다 많이 하락했다.
거기에 실업수당청구건수가 살짝 올랐다. 
현재 이 수치도 좋게 받아들이고 있는 중이다. 
급격하게 떨어지면 경기침체 우려를 말하는 것이니까..

그래서 5월에 금리를 한번 25bp를 올리고 12월까지 조금씩
3번을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상황은 은행 위기 위험은 급감하고 있고 
물가는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고 
임금은 꾸준히 올르는 데 실업률은 3.5%로 낮다.

1957년 이후 침체 시작 전 저점을 찍은 적은 없었다
침체 본격화하면 주가 최저점 경신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래서 방어적으로 행동하고 전저점 찍으면 매수할 준비를 하라는 의견도
있다.

넷플릭스 실적보다 계정 공유 유료화 전망에 더 관심이 있는 듯하다.
현재 2월부터 캐나다,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페인에는 도입을 하고 있다.

3월 은행 예금 유출 3120억 달러를 보였다.
대형은행은 180억 달러 중소형은행들은 -2120억 달러 예금상황이 변했다.

PPI가 낮게 나오면서 달러 가치도 떨어지고 있다.
도매물가가 떨어졌으니 소매물가는 더 떨어질 거라는 생각에 더 밀리는 것 같다.
Fed가 곧 금리가 인상 중단 후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떨어지고 있다.

금값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보고 있고 
침체 대비로 안전자산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달러 약세로 영향을 받는 듯하다.
현재 최고점 근처까지 올라왔다.

비트코인도 3만 달러를 넘었고
이더리움도 2천 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 관련주가 급등을 했다.


유가

 

(서부텍사스) WTI: 82.52달러/배럴 (0.36달러 상승) 
(북해산) 브렌트유: 86.31달러/배럴 (0.22달러 상승)

 

상승요인
국제에너지기구(IEA) 올 수요 하루 200만 배럴 증가, 공급 120만 배럴 증가
중국 경제 재개 후 항공 수요 급증 예상

하락요인
미국 소매판매 1% 감소 - 수요 부진 우려 상승

 

728x90

이전 글

 

2023.04.14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하락, PPI(도매물가) 마이너스, 피벗을 할까?, 공포지수 최저, 금-암호화폐 상승(2023/04/14)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하락,PPI(도매물가) 마이너스, 피벗을 할까?,공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하락, PPI(도매물가) 마이너스, 피벗을 할까?, 공포지수 최저, 금-암호화폐 상승(2023/04/14) 뉴욕증시 S&P 500 =>> 4,146.22 (+54.27 1.33% 상승) 나스닥 지수

justdoit1004.tistory.com

 

시장날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