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하락, PPI(도매물가) 마이너스, 피벗을 할까?, 공포지수 최저, 금-암호화폐 상승(2023/04/14)
뉴욕증시 S&P 500 =>> 4,146.22 (+54.27 1.33% 상승)
나스닥 지수 =>> 12,166.27 (+236.93 1.99% 상승)
다우존스 =>> 34,029.69 (+383.19 1.14% 상승)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7.80 (-1.29 6.76% 하락)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45% (+0.04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3.96% (+0.01 상승)
COMEX(국제 금값) =>> $2,054.80/온스(+29.90 1.48% 상승)
bit Coin(암호화폐)=>> $30,290.00/개 (+379.30 1.27% 상승)
Ether(이더리움) =>> $2,007.37/개 (+88.73 4.62% 상승)
✔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세계 출산율 제일 낮은 한국
한국 0.8
홍콩 0.9
푸루토리코 0.9
마카우 1.0
싱가포르 1.1
몰타 1.1
우크라이나 1.2
스페인 1.2
이탈리아 1.2
중국 1.3
긍정적인 면
PPI(생산자물가지수 3월 도매물가 2.7%(년대비), -0.5%(월대비)
(2020년 4월 후 최대 하락)-인플레이션 둔화에 신호로 긍정적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9만 명 - 바람직한 변화
부정적인 면
은행 실적 발표 앞두고 악화 우려
점차 가격에 반영하는 "침체 전망"
부가 설명
생산자물가지수가 생각보다 많이 하락했다.
거기에 실업수당청구건수가 살짝 올랐다.
현재 이수치도 좋게 받아들이고 있는 중이다.
급격하게 떨어지면 경기침체 우려를 말하는 것이니까..
그래서 5월에 금리를 한번 25bp를 올리고 12월까지 조금씩
3번을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상황은 은행 위기 위험은 급감하고 있고
물가는 완만하게 둔화하고 있고
임금은 꾸준히 올르는 데 실업률은 3.5%로 낮다.
1957년 이후 침체 시작전 저점을 찍은 적은 없었다
침체 본격화하면 주가 최저점 경신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그래서 방어적으로 행동하고 전저점 찍으면 매수할 준비를 하라는 의견도
있다.
넷플릭스 실적보다 계정 공유 유료화 전망에 더 관심이 있는 듯하다.
현재 2월 부터 캐나다,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페인에는 도입을 하고 있다.
3월 은행 예금 유출 3120억 달러를 보였다.
대형은행은 180억달러 중소형은행들은 -2120억 달러 예금상황이 변했다.
PPI가 낮게 나오면서 달러 가치도 떨어지고 있다.
도매물가가 떨어졌으니 소매물가는 더 떨어질꺼라는 생각에 더 밀리는 것 같다.
Fed가 곧 금리가 인상 중단 후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하면서 떨어지고 있다.
금값은 계속 상승 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보고 있고
침체 대비로 안전자산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달러 약세로 영향을 받는 듯하다.
현재 최고점 근처 까지 올라왔다.
비트코인도 3만달러를 넘었고
이더리움도 2천달러를 돌파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 관련주가 급등을 했다.
어제 뉴스요약
미국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많이 떨어졌다.
3월 CPI 5.0%가 나왔다. 2월엔 6.0%였다. 1% 뚝 떨어진 모습이다.
3월에 에너지 물가가 CPI 하락세에 가장 크게 기여를 했다.
4월은 좀 불안하다..OPEC+감산으로 인해 유가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계란값은 36년만에 최대인 11% 하락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CPI 30%를 차지하는 주거비 물가도 둔화하는 모습이다.
슈퍼코어 CPI도(주거비, 에너지, 식음료 제외한 것)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근원물가는 오히려 상승했다. 좀 싸늘하다..
큰 비중을 차지한 운송, 교통비가 문제 였다.
인건비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것을 짐작해 본다.
FOMC회의록이 오늘 발표가 되었다.
하반에 경기침체 예상하고 있다는 얘기가 언급이 많이 됐다.
-하반기 완만한 침체로 접어들 가능성 시사
-완전히 벗어나는 데 2년 걸릴 수 있다.
-일부는 잠정적인 금리인상 중단 주장
-고용 견조, 한번 더 금리 인상하는것이 적절하다..
이런 상황에서 5월엔 25bp 인상을 할 것으로 시장은 예측했다.
이런 와중에 미국국채 2년 물이 많이 하락했다.
중국이 계속해서 금을 매입하고 있다.
오늘도 금값은 상승 했다.
유가
오늘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서부텍사스) WTI: 82.16달러/배럴 (1.10달러 하락)
(북해산) 브렌트유: 86.09달러/배럴 (1.24달러 하락)
상승요인
미국 3월 PPI 둔화 후 위험 선호 심리 개선
달러 가치 약세
하락요인
OPEC 여름 수요 둔화
미국 잇따른 고용, 경기 둔화 지표로 침체 우려 확산
이전 글
2023.04.13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CPI 큰 폭 하락, 유가 급상승, 캐나다 동결(2023/04/13)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CPI 큰폭 하락,유가 급상승, 캐나다 동결(2023/04/13)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CPI 큰 폭 하락, 유가 급상승, 캐나다 동결(2023/04/13) 뉴욕증시 S&P 500 =>> 4,091.95 (-16.99 0.41% 하락) 나스닥 지수 =>> 11,929.34 (-102.54 0.85% 하락) 다우존스 =>> 3
justdoit100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