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메타 급등, 아마존, 이베이도 급등, 경제지표는 안 좋고, 기업실적은 좋고(2023/04/28)
뉴욕증시 S&P 500 =>> 4,135.35 (+79.36 1.96% 상승)
나스닥 지수 =>> 12,142.24 (+287.89 2.43% 상승)
다우존스 =>> 33,826.16 (+524.29 1.57% 상승)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6.85(-1.99 10.56% 하락)
✔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긍정적인 면
메타 실적 호조-기술주 상승
FRC 주가 8.6% 급등하는 등 위기 진화 하는 모습
다음 주 금리 인상이 마지막??!!
부정적인 면
1분기 성장률 1.1%, 예상 2.0% (4분기 2.6%)
4월 캔자스시티 Fed 제조업 지수 -10, 예상 -2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만명
부가 설명
발표 되는 경제지표들은 부정적이고
발표되는 기업들의 실적은 예상보다 좋게 나오고 있다.
그러면서 증시는 이것에 탄력을 받으면서 상승하고 있다.
발표된 미국의 1분기 성장률 1.1%, 예상 2.0% (4분기 2.6%)
예상보다 많이 안좋게 나왔다.
거기에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다시 줄어들었다.
전주보다 1.6만명이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에 메타가 14% 급등했다.
거기에 FRC가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8.6%
오늘 빅테크기업들이 크게 상승했다.
거기에 이베이, 아마존까지 매출등이 예상보다 높게 발표하면서
증시 상승에 영향을 줬다.
전문가 의견
1분기 성장률 둔화는 재고의 급격한 감소 때문이다.
이를 제외하면 3.4% 성장은 했을꺼다.
회전형 침체 지속하는 가운데 주택은 바닥을 치고 있는 중이다.
주택이 바닥을 치고 올라가면
소비가 내려갔다가 올라가게 되는 순환(회전형)이 될 거다.
정보속도와 투명성 때문에 사람들이 미리 전망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전통적으로 보이는 침체보다 회전형 침체가 된다.
Fed 가 계속해서 인상을 하면 진짜 침체로 가게 된다.
2% 물가 달성은 어렵다.
어제 뉴스요약
한국 성장률 하향한 뱅크오브아메리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1.9%->1.4%
고금리가 가계 지출 점차 압박 하반기 소비 둔화 할것이다.
기술 사이클 하강도 수출,투자 압박할 것으로 예상했다.
호주는 1분기 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 했다.
7.0%, 5월에도 금리 동결 할듯 하다.
3월 내구재 주문 3.2% 깜짝 증가했다.
하지만, 운송과 보잉 덕분에 내구재 주문이 증가한 것이다.
전체적인 소비가 증가 한것이 아니다는 말이다.
메타(페이스북)가 깜짝 실적을 발표했다.
전년대비 3% 증가한 286.5억달러를 매출을 냈다.
거기에 일일 활성 사용자들이 계속 증가하는 모습이다.
80달러대까지 내려갔다가 현재 200달러를 넘었다.
FRC(퍼스트리퍼블릭은행)이 오늘 또 폭락했다.
-29.75% 하락했다.
1분기 실적을 발표 하면서 예금 유출이 크게 나오는 것 보면서
폭락을 했었다. 그러면서 다시 위기에 몰려 있는상황이다.
현재 할수 있는 것들
-최대 1000억달러의 MBS, 투자증권 매각 추진(금융당국에도 개입 요청)
-증자, 매각 등 추가 자본 조달 방안 모색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관리 체제 가능성 모색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FRC에 대한 등급 하향 검토를 하고 있다.
기술주의 깜짝 실적 발표로 짧은 시간 위안만 줄 뿐 길게 못 간다.
단기 역풍 맞는 상황에서 증시 올리기 힘들다.
거기에 FRC의 예금 유출에다 UPS는 소비 둔화 보여준다
유가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53% (+0.10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4.07% (+0.17 상승)
COMEX(국제 금값) =>> $1,997.30/온스(+1.30 0.065% 상승)
bit Coin(암호화폐)=>> $29,579.20/개 (+1182.50 2.66% 상승)
Ether(이더리움) =>> $1,916.70/개 (+49.98 2.68% 상승)
(서부텍사스) WTI: 74.76달러/배럴 (0.46달러 상승)
(북해산) 브렌트유: 78.37달러/배럴 (0.68달러 상승)
상승요인
FRC주가 반등하면서 지역은행 위기 진정
하락요인
추가 금리 인상 => 침체 => 원유 수요 둔화
미국 1분기 성장률 1.1% => 경기 침체 우려 고조
러시아, 추가 감산 계획은 없다.
이전 글
2023.04.27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4/27)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5/02) (0) | 2023.05.02 |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FRC(퍼스트리퍼블릭은행) 사실상 파산,엔화-유가 급등(2023/04/29) (2) | 2023.04.30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4/27) (0) | 2023.04.27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달라진 금리인상 확률,FRC 급락=>지역은행들 급락,빅테크 실적 관망,장외시장 급등(2023/04/26) (2) | 2023.04.26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이번주 실적발표 최다, 테슬라를 잡은 LVMH!!(2023/04/25) (1)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