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최종기준금리 상승예상(2023/03/02)

날아라100조 2023. 3. 2. 08:14
728x90
반응형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최종기준금리 상승예상(2023/03/02)

뉴욕증시 S&P 500   =>> 3,951.39(-18.76 0.47% 하락) 
나스닥 지수         =>> 11,379.48 (-76.06 0.66% 하락) 
다우존스           =>> 32,661.84 (+5.14 0.016% 상승)
변동성지수       =>> 20.66 (-0.04 0.19% 하락)
(공포지수)
미 국채 금리 10년물  >> 4.01% (+0.09%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4.89% (+0.08% 상승)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2월 중국 제조업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50 이상은 확장, 이하면 위축)
이유는 경제 재개방과 경기침체 위험으로 부터 탈출하기 
위한 짧은 시간에 많은 돈을 풀어서 인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증시는 상승으로 출발했지만 하락 마감했다.
어제 프랑스, 스페인에 이어서 
2월 독일 인플레이션(9.3%) 마저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

 

긍정적인 면 

11년이내 최고 찍은 중국 2월 제조업 심리
2월 하락했던 데 따른 반등 모색

 

부정적인 면

국채 10년물 금리, 연 4% 돌파
카시카리 Fed "3월 25bp 또는 50bp 인상" 매파적인 발언
2월 ISM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 47.7 예상 47.8

 

부가 설명

지난주 모기지 신청 28만 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금리가 6.71%로 11월 이후로 최고치다.
미국 내 회사 파산 보호 신청도 급증하는 중이다. 

시장에서는 3,5,6월에 25bp씩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래서 최종기준금리가 5.5%까지 올릴것이라고 보고 있다.
7월에도 올려서 5.75%도 얘기가 나오고 있는 중이다.

현재 지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하고 있지만 서비스 물가를 
못 잡고 있는 상황이다. 
경기 침체를 피하고 싶지만 위선 순위는 물가 잡기가 관건이다.
이후 Fed에서 기준금리 인상율이 어떻게 될지 궁금한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올해 금리 인하는 어려운 상황이 되고 
생각보다 오랫동안 높은 금리를 유지하게 될 수밖에 없다.

가장 무서운 것은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꺽이기 전에 완화했다가
다시 시작된 전례가 있기 때문에 더욱 무섭게 느껴진다.


이전 뉴스 내용

부정적인 요인의 경제지표들이 많이 나왔다.
시카고Fed PMI(구매관리자지수) 43.6 -설문조사
리치먼드 Fed 제조지수 -16. 예상보다 더 안 좋게 나왔다.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집값이 큰 폭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유가

WTI: 77.69달러 (0.64달러 상승) 
브렌트유: 84.31달러 (0.86달러 상승)

 

상승요인
중국의 본격적이 경제 재개방
중국 2월 제조업PMI, 11년 만의 최고치 

하락요인
미국 EIA "휘발유 재고 116.6만 증가"

 

이전 글

 

2023.03.01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주요 도시 집값하락, 유럽 재경고(2023/03/01)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주요도시 집값하락, 유럽 재경고(2023/03/01)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주요 도시 집값하락, 유럽 재경고(2023/03/01) 뉴욕증시 S&P 500 =>> 3,970.15(-12.09 0.30% 하락) 나스닥 지수 =>> 11,455.54 (-11.44 0.10% 하락) 다우존스 =>> 32,65

justdoit1004.tistory.com

 

 

시장날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