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2023년 예정된 주요 경제 지표, 일정 정리, 중요 예상 포인트

날아라100조 2023. 1. 2. 08:02
728x90
반응형

2023년 예정된 주요 경제 지표, 일정 정리, 중요 예상 포인트

 

1/2일 월요일 한국 주식시장 1시간 연장 개장 (10시 개장)
뉴욕증시 휴장(신정 대체 공휴일)
1/3일 화요일 S&P 제조업지수 확정치 (12월, 45.2)
건설 지출 (11월, 직전 -0.3%)
1/4일 수요일 FOMC 의사록(12월)***
구인, 이직 보고서(11월)*** / ISM 제조업지수(12월 직전 49.0%)
실적 발표 - 베드배스 & 비욘드
1/5일 목요일 ADP 민간고용 버고서(12월, 직전 12만 7000개)
신규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S&P 서비스업지수 확정치(12월, 직전 44.4)
실적발표 - 월그린스 컨스털레이션 브랜드
1/6일 금요일 비농업 일자리 수(12월, 직전 263,000개)*** / 실업률(12월, 직전 3.7%)***
핵심연령층 노동 참여율(12월, 직전 82.4%)
ISM 서비스업지수(12월, 직전 56.5%)

 

 

전문가 의견들
  • 올해(2022)는 Fed가 시장을 좌우했으나 내년은 다를 것. 기업들 실적과 펀더멘털 이 핵심이 될것
  • 상반기 침체 이슈 지속되겠지만 고용시장 너무 탄탄하다. 소비도 견조하기 때문에 경기침체 확신 못하겠다.
  • 이익률 방어 기업을 찾아라!!

 

  • 시장은 내년 상당한 상승장 할 이유가 많이 있다. (톰 리)
  • 신용시장, 변동성 안정세에 금리 인상도 피크다.
  • 실적 감소에도 2024년 반등 기대로 먼저 뛸 가능성 높다.
  • 기술주 서프라이즈 예상.. 내년 말 전망치 4750

 

2023년 중요 예상 포인트

1. 중국 확진자 급증에 따른 글로벌 디플레 공포 확산

2. 경기 침체에도 Fed 고금리 고수 할듯 (82년 볼커 유사 한가??)

3. 집값 급락에 ECB(유럽)는 하반기 금리 인하

4. 국채 시장 요동에 Fed, 양적 긴축 중단 

5. 내년 4월 후에도 변함없는 BOJ(일본중앙은행) 정책

6. 정치적 압박에 Fed, 물가 목표 수정 검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