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하기

FOMC발언은 어떻게 나올까? 시장의 반응은? 기준금리의 움직임은?

날아라100조 2023. 1. 31. 00:30
728x90
반응형

FOMC발언은 어떻게 나올까? 시장의 반응은? 기준금리의 움직임은? 금리인하는?

 

✔ FOMC, Fed, 파월, 시장의 움직임, 기준금리, 금리인하는 언제쯤?

 


2015년 12월 
양적긴축~~!!
이때도 기준금리를 9번을 올렸었다. 시장은 20%나 빠지는 모습이었다. 완전 패닉인 상황이었다.
2019년 1월에 파월의장이 미국경제학회(AEA)에서 pivot(정책전환)을 암시했다.
그리고 7월에 금리를 내리고 QT(양적긴축)도 중단했다.

현재와 2018년 모습과 비슷한 모습이 많이 있다.
금리인상과 QT를 병행하는 점과 3월까지 기준금리를 올린다면 9번을 올린 것도 동일하게 된다.
흐름이 그때와 비슷하다면, 4월에 금리인하를 암시하고 연내에 금리 인하를 할 수도 있다는 말이 된다.
모든 상황이 똑같지는 않지만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 싶다.

 

현재 상황을 살펴보면:

 

미국 현재 기준금리는 4.5%. 
2/1일 한국시간 2/2일 FOMC에서 0.25% 올리다는 말이 힘을 받고 있다.
현재 금리가 굉장히 높은 편이다. 예전과 달리 대출규모가 너무 커졌고 금리를 더 올린다면
경제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할듯하다.

2018년 금리 정점이 2.5% 였다.
2006년 금리 정점이 5.25% 였다. 여기서 문제는 지금 부채규모가 엄청나게 늘어나있다는 거다.
이 큰 규모의 부채에 대한 이자는 현금흐름, 상당한 유동성을 흡수해 버릴 것이다.
이때와 달리 견딜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짧아졌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방법으로 금리 인상을 했지만 큰 부채 규모 때문에 
금리인상보다는 유지를 하는 게 맞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지금 까지 금리를 올릴 수 있었던 이유도 데이터를 보고 얘기를 이어 왔던 터라 
실제 데이터도 바뀌고 있고 캐나다도 인상을 중지한다고 했으니까..

지금 PCE 예상치보다 더 낮게 나온 상황이다. 그 말은 생각보다 빨리 물가가 잡히고 있다는 소리다.
지금 시장의 움직임은 파월의장의 말을 듣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
기준금리는 5%을 말하고 있는데.. 미국 국채 10년물은 4.2%>>3.5%로 낮아지고 있다.
나스닥은 13% 상승 중이다. 원유도 횡보 중.. 거기에 캐나다 금리인상을 안 한다고 한 상황..

이런 분위기인데 여기서 나쁜 말(매파적인 발언)을 한다고 해도 시장이 받아줄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그러면 금리를 유지하고 상황을 봐가면서 행동하는 게 맞을 수도 있을 듯하다.

 

확인

 

2023.01.29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인텔, 테슬라(2023/01/28)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인텔, 테슬라(2023/01/28)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인텔, 테슬라(2023/01/28) 뉴욕증시 S&P 500 =>> 4,070.56 (+10.13 0.25% 상승) 나스닥 지수 =>> 11,621.71 (+109.30 0.95% 상승) 다우존스 =>> 33,978.08 (+28.67 0.084% 상

justdoit1004.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