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이번엔 도이치뱅크 위기, 채권 문제?!(2023/03/25)
뉴욕증시 S&P 500 =>> 3,970.99 (+22.27 0.56% 상승)
나스닥 지수 =>> 11,823.96 (+36.56 0.31% 상승)
다우존스 =>> 32,237.53 (+132.28 0.41% 상승)
변동성지수(공포지수)=>> 21.81 (-0.80 3.54% 상승)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38% (-0.00 유지)
미 국채 금리 2년물 >> 3.76% (-0.00 유지)
COMEX(국제 금값) =>> $1,978.10 (-17.80 0.89% 하락)
bit Coin(암호화폐) =>> $27,696.30 (-656.60 2.32% 하락)
Ether(이더리움) =>> $1,751.75 (-65.74 3.62% 하락)
✔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유럽 증시 다시 흔들리고 있다.
이게 뭔일인지.. 격일로 뭔 일 터지는 게 꼭 누구와 짜고 하는 듯..
유럽증시 -1.82% 하락했다.
이유는 도이치방크(도이치은행)발 위기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실버게이트 캐피털 => SVB파산 => 시그니처은행 파산
=> CS(Credit Suisse)는 UBS가 인수
=> 퍼스트리버블릭는 대형은행들의 도움으로 유지 중..
=> 그런데 생각도 안한 도이치뱅크에서 터졌다.
도이치뱅크는 독일에서 가장큰 민간은행이다.
이런 곳이 조짐이 안 좋으니 이 난리다.
은행에서 문제가 생기면 각국에서 빠른속도로 대처하고 있는 중이다.
긍정적인 면
미국,유럽 시스템은 탄탄하다. 필요시 유동성 투입한다.
Fed가 금리 더 빨리 낮출 것이란 시장의 기대
부정적인 면
도이치뱅크발 은행위기 우려 확산
2월 내구재 수주 -1.0%
부가 설명
도이치뱅크발 은행위기 우려로 시장은 겁먹은 모습이었으나
빠른 대처로 불안감을 다소 해소하면서 상승 마감했다.
계속해서 이런식으로 은행발 위기가 나타나면서
Fed가 금리를 생각보다 빨리 낮출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상승하면서
시장에 반영하는 모습이다.
내구재(가전제품등) 주문이 뚝 떨어졌다.
FOMC는 4월에 없고 5월에 있다.
도이치뱅크, 뭐가 문제냐??
15억달러 규모 티어 2 채권(2028년 만기) 환매하면서
뭔가 조짐이 이상하다는 것을 느꼈는지,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에서 한때 15% 급락 했다.
(3/10일 SVB 파산 후 2주만에 시가총액 30%가 증발함)
5년물 은행채 CDsP 프리미엄 215bps(부도확률) 증가했다.
(SVB 파산 후 두배 이상 급등)
글로벌 위기때마다 엄청나게 치솟았던 DB 부도 확률이
현재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온 상황이다. (1년물 CDS 프리미엄 상승했다)
도이치뱅크의 AT1 채권 가격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AT1 채권이 왜 문제가 되나??
UBS가 CS(Credit Suisse)를 인수할 때 문제가 시작된다.
CS주주들이 많은 손해를 보면서 UBS주식을 받게 되었다.
손해는 많이 봤지만 깡통은 되지 않았다.
근데 주식보다 안전 자산인 AT1 채권을 상각처리 하게 결정됐다.
문제는 여기서다..
채권은 주식보다 안전 자산에 속한다. AT1 채권이 순위에선 밀릴 수는 있지만
주식보다는 안전하다고 생각했는데 AT1 채권을 투자했던 사람들은 손해가
아닌 깡통이 된거다.
그러니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자 가격이 급락한 것이다.
미국채 금리가 많이 떨어지고 있다.
2년물은 현정부의 정책이 가장 많이 반영이 되고 영향을 받는다.
많이 떨어진다는건 기준금리가 하락을 할 거다는 기대가 반영된 듯하다.
어제 뉴스요약
신규 실업수당 청구 19.1만명 밖에 안 됐다.
고용시장은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채 금리가 많이 떨어지면서 기술주들이 많이 올랐다.
2월 신규주택 판매는 1.1% 예상보다 많이 높았다.
7개월 연속으로 예상보다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규주택가격이 떨어지면서 저가 매수세가 들어오면서
판매건수가 증가한것으로 보고 있다.
월가 투자은행들은 5월에 한 번 더 25bp를 올린 뒤
동결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예상은 Fed점도표와 같은 모습이다.
유가
WTI: 69.26달러/배럴 (0.70달러 하락)
브렌트유: 74.99달러/배럴 (0.92달러 하락)
상승요인
각국 중앙은행 긴축 완화 전망 - 수요 증가 기대.
하락요인
도이치뱅크발 위기 우려에 투자 심리 악화
안전 자산 달러의 강세 전환
이전 글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영·스위스·노르웨이 줄인상, 달라진 Fed 금리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영·스위스·노르웨이 줄인상, 달라진 Fed 금리 전망, 말 바꾼 옐런(2023/03/24) 뉴욕증시 S&P 500 =>> 3,948.72 (+11.75 0.30% 상승) 나스닥 지수 =>> 11,787.40 (
justdoit100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