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식]오늘의 움직임 살펴보기 (2023/01/17)
한국 증시, 한국 주식, 한국 시장, 주요요점정리, 경제3대축, 미국,유럽,중국,동향
한국 증시도 숨고르기 하는 중인듯 하다.
1/4일 부터 16일까지 코스피는 거의 8%정도 상승했고 금융주들은 20% 가까이 오른 상황이다.
그래서 17일 오늘은 차익실현을 위한 매도가 나오면서 후퇴한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주요 요점 정리
- 내일 미국 발표할 물가지표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일본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 중국의 경제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 FOMC 앞두고 경계심 증가 하는 것 같다.
내일나올 생산자 물가, 도매물가 가 어떻게 될지가 관심시 되고 있다.
대부분 지표가 다 낮아지지 않았을까 하는 기대를 하고 있는 중이다.
18일 저녁 10시30분에 확인 할수 있다.
지난주 부터 시작된 4분기 실적 발표
일본의 통화정책의 방향성
국채 금리 상단을 0.25%까지만 허용한다고 했다가 0.5%로 더 올려서 허용했다.
일본도 수십년만에 물가가 올라서 난리난 상황이다.
일본의 근원CPI(Core CPI)가 4% 정도라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유지 한다는게 사실상 어려운 상황처럼 보인다.
일본이 금리를 오르게 되면 어떻게 되는거지?
우선 일본이 금리를 오르게 되면 엔화가치가 상승하게 되고
엔케리 자금으로 투자했던 전세계의 곳곳에 있던 자금들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엔케리 자금 = 엔값이 싸서 일본에서 돈을 빌려서 투자 하는 돈을 말한다.)
그렇게 되면 그 영향을 받는 나라들이 분명히 있을꺼고 한국도 영향권에 있다고 본다.
무슨일 어떻데 일어날지는 예상하기가 쉽지 않다.
전세계의 경제 3대 축이라고 하는 미국, 유럽, 중국 이다.
미국, 유럽은 경기침체가 약하게 라도 올꺼라고 예상을 하고 있다.
그럼 중국만 남았는데 중국은 반반이다.
중국발표를 보면 시장에서 보는 수치보다 좋게 나왔다.
코로나, 시징핑3기 문제때문에 봉쇄하고 문닫고 해서 큰 데미지를 받았는데도 예상치보다 좋게 나온것이다.
부동산, 빅테크 등의 규제를 많이 하면서 빈부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 있었다.
달리 생각하면 이런 규제를 다시 풀게 되면 시장을 끌어올릴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보면 작년의 수치가 예상보다 괜찮았고 부양의 의지가 있는 상황에서
올해 중국 경제가 좋을수 있다는 예상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딜레마가 생긴다. 중국만 브이자 반등을 할수 있는 나라 이기도 하고
그런 의지를 정책으로 밀고 나갈수 있는 유일한 나라이기도 하다.
경제가 좋아지면 다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수 있는 가능성도 커질수 있다는 것이다.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테슬라, 주요일정(2023/01/18) (6) | 2023.01.18 |
---|---|
[공부하기]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0) | 2023.01.18 |
[공부하기]현시점에서 생각해봐야 하는 내용들을 정리 해보자. 앞으로 올라갈만한 종목들은? (2023/1/15) (6) | 2023.01.15 |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2022/01/14) (7) | 2023.01.14 |
[공부하기]경기침체 때 주식을 사야 하는 이유 (9)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