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현시점에서 생각해봐야 하는 내용들을 정리해 보자. 앞으로 올라갈만한 종목들은? (2023/1/15)
지금은 변화된 뭔가 있다.
유동성이 많을 때는 유동성이 빠질 때 다 같이 빠지고 다 같이 올라가는 모습을 보인다.
유동성이 적을 때, 증시가 상승하게 되면 돈이 될 종목들만 올라가게 된다.
당연한 얘기 다.
돈을 많이 가지고 있으면 이것저것 큰 부담 없이 괜찮다 싶으면 살 수 있지만,
돈이 별로 없다면, 올라갈 만한 것만 사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올라갈 거 같은 게 아니라 반드시, 분명히, 확실히 올라갈 종목, 훨씬 압도적인 종목에 쏠리기 마련이다.
1. 정부 정책으로 인한 지원이 관련된 업종들.
2. 시대의 흐름에 맞는 사업을 하는 업종들.
시장엔 충분한 돈이 없는 상황이라면 그 돈 중에서 정책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종목, 업종들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요즘 들어서 우주, 방산, 로봇 쪽이 뭔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많은 의견이 7월 정도 되면 CPI가 2%로 예상하고 있다.
지금 시점에서 CPI가 낮아지는 게 고금리를 지속하지 않아도 되니까 좋은 거지만,
다른 쪽에서 보게 되면 경기침체를 말하는 것 이기도 하다.
근데 중국경제, 원자재 가격들이 상승하게 되면 다시 소비가 늘어나게 되는데 CPI가 많이 줄어들게 될까 의문이 된다.
미국, 중국, 유럽의 지역에 종합적인 상황을 잘 봐야 할 듯하다.
현재 CPI가 9.1에서 6.5까지 떨어진 상황이다.
사람들은 이제 물가는 잡혀 가고 있다고 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 이 시점에서 무슨 생각을 할까? 경기침체가 올까? 온다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이 될까? 를 생각하게 될듯하다.
중국의 리오픈링, 러시아 전쟁, 기업들의 지표나 실적, 사람들의 소비 지표들과 비교해서
소비가 별로 안 떨어지는 상황이 되면 우리가 원했던 연착륙도 가능하다는 소리다.
근원 CPI를 크게 방해했던 부동산 렌트비가 줄어들고 있다. 그럼 CPI가 하락하는데 큰 도움을 받게 된다.
지난번엔 중고차가격이 도움을 줬다.
또한 임금상승률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서비스도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니 더 유리한 상황이다.
서비스, 임금, 부동산에서 하락을 하게 되면 CPI는 하락할 수밖에 없다.
CPI가 낮게 나오면 경기침체가 얇게 지나갈 수도 있는 얘기다.
경기침체 기간이 짧아질 수 있다. 그러면 주가는 많이 떨어지지 않고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변수들만 없으면 가능성이 커질 거라고 생각이 든다.
1. 러시아 전쟁 확산.
2. 예상했던 최종금리 5~5.25% 이하로 돼야 한다.
3. 그러기 위해선 물가 다시 상승해선 안된다.
4. 중동지역의 전쟁 위험성 등. 생각지 못한 다른 변수들 등..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하기]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0) | 2023.01.18 |
---|---|
[한국주식]오늘의 움직임 살펴보기 (2023/01/17) (4) | 2023.01.17 |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2022/01/14) (7) | 2023.01.14 |
[공부하기]경기침체 때 주식을 사야 하는 이유 (9) | 2023.01.14 |
[미국주식]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2023/01/13) (6)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