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급락, 아마존부활?, 위험한 튀르키예, 영국금리인상(2023/06/23)
뉴욕증시 S&P 500 =>> 4,381.89(+16.20 0.37% 상승)
나스닥 지수 =>> 13,630.61(+128.41 0.95% 상승)
다우존스 =>> 33,946.71(-4.81 0.014% 하락)
변동성지수(공포지수)=>> 12.91 (-0.29 2.20% 하락)
유럽증시(EURO STOXX 50)=>> 4,301.88(-20.87 0.48% 하락)
영국이 기준금리를 50bp를 올렸다.
어제 영국 물가 상승률이 4개월 연속 깜짝 상승했다.
여전히 식료품, 에너지가 높은 상황이다.
8.7%, 근원 7.1%
25bp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았으나,
50bp 깜짝 인상을 했다.
현재 영국의 기준금리 5.0%가 됐다.
지금 인플레이션을 못 잡으면 안 된다는 판단인 듯하다.
---------
영국의 경제는 하락할 것이고 영국의 파운드 화는 상승하게 되는데
현재는 기대금리 상승에도 하락했다.
금리를 상승하게 되면 영국의 통화가치가 높아지게 된다.
그렇게 되지 않은 이유는
공격적인 금리 인상 후, 경기침체, 둔화되고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노르웨이도 깜짝 기준금리 인상을 했다. 50bp, 그래서
기준금리가 3.75% 되었고,
인플레이션이 6.7%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위스 중앙은행도 25bp 금리 인상을 했다.
기준금리가 1.75% 가 됐다.
인플레이션이 2.2%로 상대적으로 많이 낮다.
문제는 튀르키예다.
물가가 뛰고 있을 때, 금리를 내리는 정책을 펼쳤다가
물가가 더 뛰게 되었고 한 번에 기준금리를 15%를 올렸다.
이것도 시장예상보다 적게 올렸다고 얘기가 나온다.
그래서 리라화가치가 올라가지 않고 내려갔다.
지금 인플레이션이 40%가 넘은 상황이다.
브라질은 물가가 안정적으로 보이고 있다.
긍정적인 면
기존주택 판매 0.2%, 예상치 -0.7%
기술주 잠시 하락하자 매수세 재유입
신규 실업수당 청구 26.4만 개-예상보다 늘었다.
부정적인 면
영국중앙은행의 예상외 50bp 금리인상
5월 경기선행지수 -0.7%-14개월째 하락
부가 설명
오늘은 임의소비재, 통신서비스, 기술주, 헬스케어, 필수소비재가 상승을 했다.
부동산, 에너지, 유틸리티, 금융주등이 하락했다.
변동성지수가 12대로 떨어졌다.
주가가 많이 오르면서 안정을 주면서 낮아졌다.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늘었다.
Fed가 원하는 모습일 거라 본다.
노동시장에 약간의 틈새가 생기고 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경기침체의 우려 또한 생기게 된다.
현재 선행지수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말은 성장 둔화를 예고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테슬라
단기간에 너무 많이 상승했다.
AI테마 관련, 슈퍼차저 개방등..
이제는 횡보한다고 해도 놀랍지 않은 상황.
내년 하반기~2025년에 나올 모델 2가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다.
저커버그가 트위터 대신할 것을 만들고 있다.
프로젝트 92로 지금 진행 중이다
올 1월부터 작업했고 올여름에 론칭 계획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 후 떠난 유명 인사등을 흡수할 계획
인스타그램 기반으로 출시명 스레드(Threads) 검토 중이다.
아마존 클라우드 AI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고객사들의 생성형 AI 활용 지원을 할 계획이다.
관련 센터 설립에 1억 달러 투자한다.
AWS매출 둔화 종료의 수혜 예상하지만,
소매 부문의 마진 회복이 더 큰 상승 동력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롬 파월발언 2
연내 두 번 추가 인상 적절하나 지표 봐야 할 듯
조만간 금리 인하에 나서지 않을 것
서비스인플레이션에서 큰 변화가 없다.
신용시장 긴축이 금리 인상 1회 대체 효과 있다.
연착륙을 향한 경로에 서 있다고 생각
주택 관련 경기는 바닥을 찍은 것 같다.
유가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80% (+0.08 상승)
미 국채 금리 2년물 >> 4.77% (+0.09 상승)
COMEX(국제 금값) =>> $1,923.70/온스(-21.20 1.09% 하락)
bit Coin(암호화폐)=>> $30,109.40/개(+50.00 0.17% 상승)
Ether(이더리움) =>> $1,883.90/개 (-5.67 0.30% 하락)
(서부텍사스) WTI: 69.51달러/배럴 (3.02달러 하락)
(북해산) 브렌트유: 74.14달러/배럴 (2.98달러 하락)
상승요인
미국 EIA, 원유 재고 383.1만 배럴 하락
하락요인
영국중앙은행, 50bp금리인상에 따른 작은 긴축
미국 정부의 지속적인 긴급비축유 방출
달러가치 강세
이전 글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급등한 유가,파월 매파적 발언,영국 높은 물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급등한 유가, 파월 매파적 발언, 영국 높은 물가, 관심이 높아진 비트코인(2023/06/22) 뉴욕증시 S&P 500 =>> 4,365.69(-23.02 0.52% 하락) 나스닥 지수 =>> 1
justdoit1004.tistory.com
✔ 미국주식 증시 미국시장, 원인들 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증시 유럽증시 해외증시, 테슬라,
미국 국채 금리 10년물 2년물, 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금값 비트코인 이더리움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7/04) (0) | 2023.07.04 |
---|---|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6/24) (2) | 2023.06.24 |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급등한 유가,파월 매파적 발언,영국 높은 물가,관심이 높아진 비트코인(2023/06/22) (0) | 2023.06.22 |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이젠 인도, 강세장 조건3가지, 중국 둔화(2023/06/21) (0) | 2023.06.21 |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급등 중, 중국 이상신호, Fed 위원발언(2023/06/17) (2)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