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CS파산위기, 스위스정부 나서(2023/03/16)
뉴욕증시 S&P 500 =>> 3,891.93 (-27.36 0.70% 하락)
나스닥 지수 =>> 11,434.05 (+5.90 0.052% 상승)
다우존스 =>> 31,874.57 (-280.83 0.87% 하락)
변동성지수 =>> 25.92 (+2.19 9.23% 상승)
(공포지수)
미 국채 금리 10년물 >> 3.51% (-0.13 하락)
미 국채 금리 2년물 >> 3.93% (-0.27 하락)
✔ 미국주식, 미국시장,원인들,영향 동향, 유가, 주요 일정, 테슬라,
미국국채금리 10년물 2년물,뉴욕증시 S&P 500, 나스닥
아르헨티나 물가가 1년만에 2배 넘게 뛰었다. 102.5%!!!
아르헨티나는 작년 9월 이후로 기준금리를 동결해 왔다.
이유는 기준금리(75%!!)가 너무 높아서 올릴 수 없는 상태다.
그러나 물가가 너무 높게 뛰어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유럽증시 하루 만에 다시 하락마감했다. -3.61%!!!
뭔 일이 있었을까?
이번엔 CS(Credit Suisse) 파산 위기다.
유럽에서는 2번째로 큰 은행이다.
유럽은 내일 기준금리 발표를 해야 하는 상황인데 갑작스러운 일로
당황하는 모습이다. 이번에 50bp 인상이 유력했으나
CS사태 이후에 25bp 인상 확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CS사태로 인해 금리를 높이지 못하게 될 거(긴축 완화)라는
예상으로 유로화 가치가 떨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독일국채가 가격이 높아지고 있다.
(장, 단기 국채 금리가 급락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Fed에도 영향을 주는 듯하다.
3월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긍정적인 면
스위스 당국 "필요하면 CS에 유동성 공급"
2월 생산자물가 -0.1%
3월 주택시장지수 44
부정적인 면
사우디 "CS 증자 못해" - 유럽, 미국 금융주 하락
2월 소매판매 -0.4% 예상과 일치
3월 엠파이어스테이트지수 -24.6 (뉴욕주 제조업지수)
부가 설명
미국발 SVB파산에 이어서 이번엔 유럽발 CS파산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이번엔 CS(Credit Suisse) 파산 위기???
추가 자금지원 실패.
15일 취리히 증권거래소 21% 급락
하루 기준 역대 최대 낙폭 + 역대 최저가.
최대 투자자 사우디구립은행(SNB) 지원거부
자금 수요 있어도 추가 재정 지원을 하지 않겠다
규제 때문에 10% 이상 할 수가 없다.
작년 말부터 뱅크런이 있었다.
투자사기와 여러 가지 스캔들로 인해서 은행이 휘청거렸다.
고객들이 위기를 느껴서 예금을 빼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증자를
계획했지만 무산된 상황이다.
유동성이 없어진 상황에 스위스당국에서도 공급을 발표했다.
"금융위기 가 오면 Fed에서 금리를 안 올릴 수 있으니까
기술주, 성장주한테는 좋은 소식이다. 반사이익을 얻을 확률이 높아진다."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보다 더 둔화한 모습을 보여줬다.
거기에 소비 위축된 모습도 확인했다.
이전 뉴스
오늘 발표한 CPI가 예상한 만큼 나왔다.
전년대비 6.0%, 전달대비 0.4%
에너지, 중고차 쪽이 많이 떨어지면서 CPI가 많이 하락했다.
에너지 중에서도 가스 수요가 많이 줄어들었고 (날씨 영향)
중고차가격도 많이 하락하면서 CPI 하락으로 이끌었다.
근원 물가(에너지, 식료품은 변동성이 크다. 이것을 뺀 나머지 물가지수를 나타낸 것)
근원 물가는 살짝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
전년 대비는 예상만큼 줄어들었지만 전월대비는 살짝 올랐다.
슈퍼코어 물가는?
(에너지, 식료품 + 주거비까지 제외한 것-좀 더 핵심 물가만 나타낸 것)
이것은 0.43% 상승한 모습을 보였다.
여전히 서비스 물가가 계속 상승 중이다.
다시 말해서 주거비, 서비스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하락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파월이 중요시하는 슈퍼코어를 보면 3월에 25bp 인상하는 건
거의 확정적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현재 475bp인 기준금리를 500bp 가 될 것을 거의 확실시 생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 투자자들은 은행주들이 많이 떨어졌다고 생각하는지..
반등에 성공했다.
유가
WTI: 67.61달러 (3.72달러 하락)
브렌트유: 73.69달러 (3.76달러 하락)
상승요인
중국 1,2월 소매판매 3.5% 예상 일치
하락요인
CS위기로 불거진 뒤 원유 수요 하락 전망
금융위기 불안 커지면서 원유 수요 하락 전망이 상승
미국 원유 재고 155만 배럴 증가
이번주 주요 일정
3/13일 월요일 서머타임 개시
3/14일 화요일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3/16일 목요일 신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이전 글
2023.03.15 - [집중하기]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금융주반등, 여전한 금리 인상(2023/03/15)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금융주반등,여전한 금리 인상(2023/03/15)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금융주반등, 여전한 금리 인상(2023/03/15) 뉴욕증시 S&P 500 =>> 3,920.56 (+64.80 1.68% 상승) 나스닥 지수 =>> 11,428.15 (+239.31 2.14% 상승) 다우존스 =>> 32,155.
justdoit100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