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워런버핏이 바이든 행정부와 만난 이유? 금융위기 때문???
✔ 워렌버핏이 바이든 행정부와 만난 이유, 금융위기
✔ Warren Buffett in Contact with Biden Team on Banking Crisis
금융위기는 언제 있었고 민간에게 도움을 청하는 이유???
워렛버핏 정부관료들이 며칠 동안 만났다고 뉴스가 나왔다.
연준의 실소유주라고 불리는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이 움직인 것도 심상치 않다.
민간에서 개입을 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워렛버핏은 현재 뱅크어브아메리카의 최대 주주다.
현재 바이든 행정부와 여러차례 회담을 하면서
지금의 은행파산 사태를 수습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지금 사태가 생각보다 심각하다고 보는 것 같다.
이런 움직임 속에 연준은 언급 되지 않고 있다.
그럼 연준을 제외하고 민간을 이용해서 은행 파산을 막는다는 움직임 같다.
이 세상엔 공짜가 없다. 이득이 없이 움직이지 않는다는 소리다.
뭔가를 주지 않고는 협상자체를 하지 않을 것이다.
파산한 은행에서 파산전에 직원들에게 대규모 보너스를 지급한 것과 회장은 하와이에서
쉬고 있다는 뉴스가 보도 되면서 안 좋게 인식이 되었다.
만약에 미국 재무부가 움직이게 되면 재정적자를 내서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된
은행들을 살린다는 뉴스가 나올것이고 정치적인 점까지 우려되는 상황까지 갈 것이다.
그래서 민간의 힘을 빌리려는 것이다.
미국 역사상 3가지 은행 파산 위기
미국 역사상 3가지 은행 파산 위기가 있었다.
1. 1929년 경제 대공황때, 지방은행 수천 개가 파산했던 적이 있다.
이때도 금리 인하로 버블을 만든 후, 급격하게 금리 인상을 하면서
미국 내 수많은 투기적 펀드들이 파산 했었고 지방은행들이 수천 개 가 파산했다.
그러면서 대형은행들이 패권을 잡았다. 지금과 비슷한 상황이었다.
2. 1998년 롱텀캐피털 파산사태:
러시아가 모라토리엄을 선언하면서 롱텀캐피털 파산하게 된다.
은행도 위기가 왔지만, 연준과 14개 금융회사가 30억 달러의
구제금융을 만들어서 해결을 했다. 이때는 다른 은행들로 번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위기르 살리기 위해서 연준은 급격한 금리 인하를 하게 된다.
그래서, 2000년도에 닷컴 버블이 발생하게 된다.
*모라토리엄?
전쟁, 지진, 경제 공황, 화폐 개혁 따위와 같이 한 나라 전체나
어느 특정 지역에 긴급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국가 권력의 발동에 의하여
일정 기간 금전 채무의 이행을 연장시키는 일.
**디폴트?
채무불이행=> 국가가 빌린 돈을 갚지 못해 부도사태 유발 하게 되는것;
3. 2008년 베어스턴스가 3월에 파산 했고 9월에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했다.
그래서 세계 경제 위기를 촉발했다.
이때 모럴헤저드 얘기가 나오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고 결국
9월에 리먼이 파산하면서 걷잡을 수 없이 번졌던 거다.
뒤늦게 수습을 하는 바람에 몇년동안 미국은 힘든 시기를 보냈고
그때 중국을 제대로 견제하지 못하면서 중국이 지금까지 성장한 것이다.
이렇게 3가지 경우를 보면 미국 현 행정부가 할수 있는 건:
1. 경제 대공황을 만들던가
2. 롱텀캐피털!!(민관합작으로 구제금융을 만들어서 해결하는 것)
3. 리먼사태를 만드는 것..
2번을 선택할 가능성이 가장 크고 부작용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대형은행들이 기금을 만들어서 지방은행을 살리려고 하고
유동성을 주는 방법과
정부도 예금에 대해서 보장을 해주는 방법
대형은행들이 흡수하는 방법 등...
연준은 금리를 인하하고 유동성을 뿌려줘야 하는데
현 상황이 문제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금리를 올리고 있고 긴축을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금리를 인하하고 유동성을 뿌리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워런버핏이 돈을 번 방법??
2008년에 은행 구제금융을 해주고 버핏에게 큰 이익을 줬다.
위험을 회피하면서 큰 수익을 안겨준 방법이다.
골드만삭스를 도와준 방법
1. 배당수익률 10% 보장하는 영구 우선주로 투자했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파산했을 때 먼저 자본을 회수할 권리가 있다.
채권과 주식투자 사이에 있는 것.
2. 되팔 때, 10% 를 더 받을 수 있는 조건을 걸었다.
3. 보너스로 2008년 기준으로 향후 5년 동안 전날 종가 125달러 보다
10달러 낮은 주당 115달러에 골드만삭스 보통주 50억 달러 치를 살수 있는 권리를 가졌다.
50억 달러 빌려준 다음에 10%씩 받았다. 2008년 사서 2020년에 팔았다.
12년 동안 배당만 120% 받았다.
50억달러 빌려주고 60억 달러를 배당으로만 받았다.
여기에 되팔 때, 10% 더 받았으니까 5억 달러 더 받았고
115달러에 보통주를 샀다. 이게 400달러 까지 올랐다. 엄청난 마진을 남길 수 있는 조건을 걸었다.
BW도 쓰고 우선주 전략도 쓰고 CB전략도 비슷하게 쓰고 혼합적으로 다 쓴 거다.
2011년도 비슷했다.
뱅크어브아메리카(BOA)에 50억 달러 투자해 줬다.
배당수익률 6%로 우선주에 투자했다. 5만 주 투자했다.
보통주를 7.14달러에 7억 주까지 살 수 있는 BW권리까지 가져갔다.
2017년에 보통주가 23.58달러였다. 매각차익만 13조 원.. 벌었다. 아직 안 팔았다.
거기에 배당수익률만 36% 엄청난 마진을 냈다.
현재 50달러니까 30조 원이다...
참고할 만 상식
JP모건이 연준보다 역사가 더 오래됐고
실제로 연준 전에 JP모간이 연준의 역할을 많이 했었다고 한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 연준이 설립이 되고 그때 JP모건에서 많은 공헌을 했었고
이후 연준에서 실세들로 불리는 위원들이 JP모건 소속들이 있었다.
그래서 실소유주라는 음모론이 나오고 있다고 한다.
이전 글
2023.01.19 - [집중하기] - [공부하기]코픽스? 11개월만에 하락했다? (금리=이자, 콜금리? 가산금리?)
[공부하기]코픽스? 11개월만에 하락했다? (금리=이자, 콜금리? 가산금리?)
[공부하기]코픽스? 11개월만에 하락했다? (금리=이자, 콜금리? 가산금리?) 코픽스, 콜금리, 가산금리, 이자, 주담대,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 코픽스, 기준금리,잔액 코픽스, 신잔액 코픽스 코픽
justdoit1004.tistory.com
2023.01.18 - [집중하기] - [공부하기]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공부하기]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공부하기]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인적분할 시 자사주에 대한 신주 배정 금지? 뭔 말이야? 자사주 매입 후 소각? 무슨 말인가? 자사주 매입?? 코리아 디스카운트 자사주 매입 후 소각 의무화?? 당국
justdoit1004.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