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 채권 기초-이해하기 쉽게!!
채권이란?
-기업을 경영하다가 돈이 부족하다.. 돈을 가져올 수 있는 곳..
-은행대출: 이자 발생, 만기 시 원금을 갚아야 한다.
-주식발행: 기업의 가치를 쪼개서 파는 것.
-채권발행:
은행대출과 비슷하지만, 시장에 있는 사람들한테 돈을 빌리는 것,
빌렸다는 증서를 채권이라고 함.
이자 발생, 만기 시 원금을 갚아야 한다.
용어 정리
✔만기:빌린 돈을 갚는 날짜.
단기채 만기 1년 미만
중기채 만기 1~3년
장기채 만기 3년 이상
기준은 처음 만든 날(발행일)을 기준이 아니라
지금 만기가 얼마나 남았는지를 보고 구분을 한다.
✔스프레드:
1."스프레드": 단기채 이자와 장기채 이자의 차이를 말한다.;이자가 왜 다를까?
돈을 빌려 쓴 날짜를 본다.
단기채는 신용위험이 낮다. 돈 떼먹을 확률이 적다. 그래서 이자가 상대적으로 싸다.
장기채는 신용위험이 높다. 돈떼먹을 확률이 높다. 그래서 이자가 상대적으로 높다.
2. 누가 빌리느냐에 따라서 이자는 달라질 수 있다. 신용도에 따라서..
한국은행이 돈 빌리는 것 vs 개인이 빌리는 것
신용도에 따라서 이자가 달라질 수 있고 그것의 차이를 "신용스프레드"라고 한다.
✔신용에 따라 이자가 달라지기 때문에 신용어 떤 지를 판단해 주는 곳,
기업, 개인등의 신용을 평가해주는 곳 => "신용평가사"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신용등급이 있다. AAA, AA, A, BBB, BB, B...
BBB 까지는 투자적격 기업이다.
금리의 종류는?
- 기준금리: 중앙은행이 돈을 빌려줄 때.. 사용하는 거 (인상, 인하.. 인위적으로 한 거라서)
- 시중금리(시장금리): 채권금리, 은행금리 가 될 수 있다. 알아서 움직이는 것 (상승, 하락)
비슷하게 움직일 수 있지만 선반영이 되서 다르게 움직일수 있다. 똑같지는 않다.
✔ 금리와 채권 가격의 관계
채권금리가 오르는데 채권가격이 하락한다??
일반적으로 100만 원으로 넣으면 이자가 10%면 만기 때 110만원을 받는 생각을 하는거고
채권은 만기때 100만 원을 받는 거고 이자가 10%라면 지금 살 때 10% 깎은 가격에 채권을 사는 거라고 그렇다.
예) 정부에서 100원 빌려주세요. 1년 뒤에 110원으로 갚을게요..
표면금리는 10% 다.
그런데 이 채권이 시장에서 지금 90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채권수익률(금리)은?
대략 20% 정도 된다.. 이걸 채권수익률이다.
채권수익률(금리)에는 표면금리가 녹아 있는 거다.
채권수익률(금리)=표면금리 + 채권가격이 떨어져서 얻을 수 있는 차익(자본차익)
어떤 채권을 투자하는 게 좋은가?
- 돈을 회수 가능성 여부,
- 앞으로 금리 방향이 어떤가?
- 듀레이션은 얼마인가? (듀레이션, duration)
✔ 듀레이션,duration
생각한 수익을 모두 회수하는 데 걸리는 기간.. 정확한 만기일
1년 후에 만기가 되는 채권이 있다.
만기 전까지 받는 이자가 있을 거고 실제로 수익회수하는 날은 만기보다는
앞당겨질 거다. 그 날짜를 듀레이션이라고 한다.
듀레이션이 중요한 이유?
만기가 얼마나 남았느냐에 따라서 금리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는 정도가 다르다.
예)
기준금리가 1%일 때 A, B한테 빌려줬다.
A는 원금:100만 원, 이자:연 2%, 만기:1년뒤
B는 원금:100만원, 이자:연2%, 만기:5년 뒤
기준금리가 5%로 올리게 되면,
A는 1년 뒤에 갚으면, 다시 5% 이상의 이자로 다시 빌려줄 수 있으니까.. 괜찮은데
B는 5년 동안은 연 2%만 먹는 상황. 아깝다..
여기서 "아깝다" 채권가격(가치)이 떨어지는 것..
기간이 길어지면 채권에 가격이 더 떨어지는 거고
채권을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 직접투자
증권사에 가서 장내, 장외에 있는 채권을 사고 싶다고 문의해서..
수수료도 높다. 적어도 1% 이상이다.
세금상 유리 한 부분은 있다.
표면금리로 세금을 매긴다. 채권금리로 세금을 내지 않는 장점이 있다.
✔ 간접투자
펀드, ETF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큰폭 하락,유럽 인플레 둔화, 고용시장 튼튼(2023/06/01) (0) | 2023.06.01 |
---|---|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5/31) (0) | 2023.05.31 |
[공부하기]기준금리는 계속 올렸는데 물가가 잡히지 않는 이유!! + 부채한도 협상 관계, 노동시장을 잡아야 한다. (0) | 2023.05.30 |
[공부하기]PBR, PER, ROE 의 관계는?? 최대한 쉽게 설명 (2) | 2023.05.29 |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부채협상 근접, AI열기 증가, 근원 PCE 상승, 그래서 6월 금리인상 확률상승(2023/05/27) (0) | 2023.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