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기]기준금리는 계속 올렸는데 물가가 잡히지 않는 이유!! + 부채한도 협상 관계, 노동시장을 잡아야 한다.
목록
- 기준금리는 많이 올렸는데 더디게 움직이는 인플레이션!!
- 재정부양책 + 통화정책 때문이다.
- 부채한도 협상을 어렵게 하는 이유는?
- 부채한도 협상으로 부양책이 끝나나??
- 지금 중요한건 노동시장!!
기준금리는 많이 올렸는데.. 더디게 움직이는 인플레이션!!
현재 인플레이션은 조금씩 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근원 인플레는 거의 떨어지지 않고 있고 미국 중앙은행(Fed)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PCE(개인소비지출)는 더더욱 떨어지지 않고 올라가는 중이다.
미국 Fed(중앙은행)이 짧은 기간에 기준금리를 5%이상 올렸는데도 인플레는 여전하다.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1.코로나19 로 인한 공급부족과 그로인한 경기부양을 위해서 양적완화(돈풀기)
2.돈이 많이 지니까, 미국 가계의 잉여저축이 쌓이고 소비가 강해지는 모습
3.코로나19로 인해서 빠른 은퇴를 해서 노동력이 부족해졌지만 노동시장은 더 탄탄해진 모습이다.
4.시중에 돈이 많아지니까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물가는 상승하게 되었고
5.Fed는 이걸보고 수요를 줄이겠다고 기준금리를 올리게 된것..
6.0%에 가까웠던 시중금리가 갑자기 1년 만에 5%이상으로 상승하게 됐다.
백악관 과 Fed의 합작품 =>> 재정부양책 + 통화정책 때문에~~
Fed에서 결정하는 통화정책과 백악관에서 관리하는 재정부양책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돈을 많이 공급한 상황에서 다시 금리를 올린것..
간단히 정리 하면, 인플레가 빠르게 상승한 이유는 공급부족(코로나19) 때문이고
인플레가 떨어지지 않고 있는 이유는 재정부양책(돈풀기) 때문이다.
본인도 기억하는건.. 인플레이션은 오지 않는다라고 말한 제롬 파월 Fed의장의 모습이다.
그러면서 22년 초부터 급격히 올렸었다.
21년 10,11월부터 올렸다면 지금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우리는 접하고 있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모든 결과로 노동시장을 보면 알수 있는것이다.
미국정부가 코로나19 때문에 보조금을 많이 줬고
그로인해서 고령자, 여성들은 일하러는 기간이 늦춰지거나 안나오고
거기에 이민자들도 줄어든 상황에 인력이 부족해진 상황이다.
그러니 노동시장은.. 탄탄해진것이다.
그럼 뭐가 더 안좋은 걸까? 통화정책과 재정부양책..
둘다 그 시기에 적절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시기가 문제 였던 거 같다..
적절한 시기에 시작해서 끝내지 못했던게 문제 였던것으로 생각된다.
부양책은 너무 많이 풀어서 문제가 되고 있는 거고 ..
통화정책은 너무 늦게 금리인상을 시작 한것이 문제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부채한도 협상을 어렵게 하는 이유는?
다른 나라는 예산안협상이라 하지만,
미국은 기축통화국이다 보니 빚을 내서 예산안을 결정하게 된다.
협상하는게 쉽지않은 이유는..
별거 없다.. 각자의 존재감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래야 대선등 의 권력싸움에서 지지 않기 위함이다.
그래서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면서 정치적 힘을 증가 시키기 위함이다.
미국의 여당인 민주당은 한도를 높이고 싶은거고
미국의 야당인 공화당은 한도를 줄이고 싶을거고..
매번 비슷하지만, 그 중간쯤에서 타결이 된다.
부채한도는 증액하겠지만 미국의 예산안을 얼마나 줄일지를 봐야 할듯하다.
대선이 있는 내년까지 미국 정부부채한도를 상향하는 대신 2024년 회계연도 에서
국방지출을 제외한 나머지를 동결하기로 했다.
2025년엔 예산을 최대 1%까지 증액할수 있다.
보기엔 감축이지만, 동결+부분증액이 된것으로 보인다.
부채한도 협상으로 부양책이 끝나나??
또 봐야 할것은 바이든의 부양책이다.
실업자들의 혜택, 학자금 대출 관련, 코로나19 지원금등..
다음대선에 도움이 될 바이든표들에 대한 혜택의 증감을 봐야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해선.. 최우선시 되는것은 노동시장의 불씨를 끄는것이다.
곧 나올 5월 고용보고서가 그래서 중요할 듯 하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다..
노동부에서 발표하는 보고서 통계에 부정확성.. 이다.
지난 2,3월 신규고용 통계를 하향 조정했다.
하향 조정한 숫자가 7만8000명?? 7만1000명??
예를들면, 3월에 236,000명이 아닌 165,000명으로 발표가 되었다면,
시장, 증시에 큰 영향을 줬을 꺼라는 거다. 기준금리 동결까지도 생각했을것으로 보인다.
지금 중요한건 노동시장이다. !!!
지금의 가장 중심에 선건 노동시장이다.
노동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선..
긴축을 강화 하던가 재정부양책을 중단 해야 한다.
결국,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해서 근원 물가를 잠재워야 하는거고
그럴려면 노동시장과 서비스 물가를 떨어트려야 한다.
✔ 노동시장, 기준금리, 인플레이션, 물가가 잡히지 않는 이유, 부채한도 협상
'집중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2023/05/31) (0) | 2023.05.31 |
---|---|
[공부하기]채권 기초-이해하기 쉽게 !! (0) | 2023.05.31 |
[공부하기]PBR, PER, ROE 의 관계는?? 최대한 쉽게 설명 (2) | 2023.05.29 |
[미국주식, 증시]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부채협상 근접, AI열기 증가, 근원 PCE 상승, 그래서 6월 금리인상 확률상승(2023/05/27) (0) | 2023.05.27 |
[미국주식] 오늘 시장에 영향 준 원인들+동향, 유가, 제대로 흐름탄 엔비디아 급등, 6월 금리인상 확률 높아져, 독일 침체(2023/05/26) (0) | 2023.05.26 |